분류 전체보기 24

[PP] SAP PP Master Overview 2

이번 글은 지난번 글 [PP] SAP PP Master Overview 1에 이어 두 번째로 SAP PP(Production Planning) 모듈에서 사용하는 Master Data(기준정보)에 대한 기본적인 설명과 SAP에서 많이 사용하는 Master Transaction(T-code)에 대한 설명입니다. 1. Work Center(작업장) - Work Center는 생산활동 또는 작업이 이루어지는 장소(작업장)또는 주체로 생산 일정계획 수립, 제품의 원가계산 (Activity 항목), 작업 부하의 계산을 위한 기준정보 역할을 합니다. - 기본데이터, 기본값, 생산능력, 일정계획, 원가계산 등의 각 View에 적절한 필드 값과 계산공식을 지정하여 실행시간, 원가, Capa. 소요량을 계산하는데 활용합니..

카테고리 없음 2024.03.28

[PP] SAP PP Master Overview 1

이번 글은 SAP PP(Production Planning) 모듈에서 사용하는 Master Data(기준정보)에 대한 기본적인 설명과 SAP에서 많이 사용하는 Master Transaction(T-code)에 대한 설명입니다. 아래 설명 내용은 일반적인 제조업체의 반복제조 및 생산오더 방식을 토대로 한 점을 알려드립니다. 1. PP Overview - 기업의 생산계획 및 생산 실행을 관리, 지원하기 위해 SAP PP(Production Planning) 모듈은 기준정보관리, 수요예측 및 생산 판매계획, 그리고 생산전략에 따라 각각 지원되는 생산 방식에 따라 생산 실행단계에서 자재 재고관리(MM), 원가관리(CO) 등 SAP 타 모듈과의 유기적인 연결을 지원합니다. 2. PP Master Data(기준정보..

카테고리 없음 2024.03.27

[기타] Transaction Table control 설정

이번 글은 SAP 트랜잭션 화면의 Table Control 설정에 관한 내용입니다. 1. 개요 - SAP 시스템에서 전표나 오더 생성 등 데이터를 입력하여 특정 트랜잭션을 처리하는 화면에 표 형식의 레이아웃이 많이 보입니다. ALV 형식의 레이아웃이 아닌 Table Control 형식의 레이아웃을 사용자 목적에 맞게 설정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T-code FB50 화면에서의 Table Control 레이아웃 - T-code : ME21N 화면에서의 Table Control 레이아웃 2. Transaction Table control 설정 방법 - 다양한 화면(프로그램)에서 Table Control이 사용되고 있으며, 각 화면(프로그램)에서 해당 Table Control 레이아웃을 사..

카테고리 없음 2024.02.23

[FI] Account assignment templates

이번 글은 FI 모듈에서 전표작성 시 사용할 수 있는 Account assignment templates에 대한 내용입니다. 동일한 유형의 전표를 반복적으로 생성할 경우 사용할 수 있는 한 가지 유용한 기능입니다. 1. 개요 - SAP FI 업무를 진행하다 보면, 입금 및 경비 처리 등 동일한 전표를 반복적으로 생성하게 되는 일이 많이 발생합니다. 이런 경우 계정, 세금, 적요 등 매번 동일한 데이터를 반복적으로 입력해야 하는 경우 사전에 데이터를 저장하고 (템플릿), 이후 전표 작성 시 해당 템플릿을 불러와 전표를 생성할 수 있는 기능입니다. - Account assignment templates은 개별 목적에 따라 전표 입력화면(document entry screens)을 구성할 수 있는 기능입니다...

카테고리 없음 2024.02.21

[ABAP] Quick Viewer T-code 연결

이번 글은 Quick Viewer로 생성한 프로그램에 T-code(Transaction Code)를 연결하는 내용입니다. 1. 개요 - Quick Viewer 프로그램은 기본적으로 생성한 SAP ID로만 조회 및 실행이 가능합니다. - 이런 퀵뷰 프로그램을 여러 사람이 쉽게 접근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T-code를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습니다. - 보통 SAP 운영서버에서는 T-code 생성 및 관리(T-code : SE93)를 허용하지 않는 반면, 퀵뷰는 일반 사용자들도 운영서버에서 생성하여 사용할 수 있습니다. - 따라서, 퀵뷰는 운영서버에서 생성하고, T-code는 개발서버에서 생성하여 CTS 전송하여 연결해서 사용합니다. 2. 퀵뷰 프로그램 확인(SAP 운영서버) - 이전에 생성한 퀵뷰 프로그램을..

카테고리 없음 2024.01.30

[ABAP] Quick Viewer 유지보수

이번 글은 SAP Quick Viewer 유지보수 관련 내용입니다. 1. 개요 - Quick Viewer(퀵뷰어)는 기본적으로 SAP ID에 할당되어 있어 생성한 ID로만 수정이 가능합니다. - 현업에서 퀵뷰어로 생성한 리포트에를 달아서 사용하는 경우가 많을 경우, 해당 퀵뷰어를 생성한 ID가 삭제되었을 경우 기본적으로 유지보수가 불가능합니다. - 이럴 경우, 해당 퀵뷰어를 다른 ID에서 유지보수 할 수 있도록 하는 프로세스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2. 퀵뷰 ID 전환 또는 할당 초기 설정 - 다른 ID로 생성된 퀵뷰를 자신의 ID에서 확인 또는 유지보수 하기 위해서 User Group에 ID 연결을 진행합니다. - T-code : SQ03 - 초기 화면에서 Query area가 'Global ..

카테고리 없음 2024.01.29

[ABAP] Quick Viewer(퀵 뷰어)

이번 글은 SAP Quick Viewer에 관한 내용으로 예제를 통한 퀵뷰어 프로그램 생성에 대해서 설명합니다. 1. 개요 - Quick Viewer는 SAP 테이블을 이용하여 ABAP 코딩 없이 간단한 자신만의 Report(조회) 프로그램을 만들 수 있는 프로그램 도구입니다. - 기본적으로 자신의 SAP ID로 생성한 Quick View는 해당 ID로만 볼 수 있으며, 유지보수가 가능합니다. 2. 생성 - T-code : SQVI - Quick Viewer 관리 초기 화면입니다. - Vendor 마스터의 Bank 및 Payment 관련 데이터를 조회하는 Quick View를 생성하는 예제로 설명하겠습니다. - QuickView 필드에 생성하고자 하는 프로그램 이름을 입력하고 'Create' 버튼을 클릭..

카테고리 없음 2024.01.26

[기타] Variant(변형) 관리

이번 글은 SAP Variants에 대한 내용입니다. 1. 개요 - Variants는 SAP 프로그램에서 자주 사용하는 조회 및 선택 조건을 저장하여 필요할 때마다 불러서 사용할 수 있는 기능입니다. 동일한 SAP 프로그램(T-code, 화면)을 반복적으로 또는 정기적으로 사용할 때 유용하며, Background Job 설정 시에도 사용합니다. 2. Variant(변형) 생성 - T-code MM60(Material List) 화면을 통해 Variant(변형) 생성에 대해 설명합니다. - 해당 MM60 화면에는 아직 Variant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 Variant로 저장하여 관리하고자 하는 필드 값을 입력하고 ' Save As Variant…' (저장) 버튼을 클릭합니다. - 변형이름 및 내역을 입..

카테고리 없음 2024.01.19

[기타] IMG(SPRO) Overview

SAP 시스템을 사용하다 보면 초기 설정 및 업무 프로세스 특성에 따른 시스템 설정 작업을 진행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런 경우 IMG라는 SAP에서 제공하는 툴을 사용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개별 IMG 작업에 대한 설명보다는 일반적인 IMG SPRO 화면과 기능들에 대한 내용입니다. 1. 개요 - IMG(Implementation Guide)란? - SAP standard 시스템을 사용자 요구사항에 맞게 Customizing 하여 변경 및 적용하는 툴을 말합니다. - SAP시스템의 일반적인 설정 또는 각 업무 프로세스(모듈) 별 특성을 설정하는 곳으로 SAP에서 제공하는 표준 설정들을 확인할 수 있으며, 사용자 특성에 맞게 구성할 수 있습니다. 2. IMG 화면 - T-code : SPRO - 개별 P..

카테고리 없음 2024.01.18

[PP] 공장달력(Factory calendar)

이번 글은 SAP에서 사용하는 공장달력(Factory Calendar)에 관한 내용입니다. 1. 개요 - SAP에서는 생산계획, 일정계획, 가용 능력일자 등에 적용할 작업 일수를 산출하는 데, 휴무일(Holiday)과 작업일(Working day)이 미리 지정되어 있는 공장달력을 작성하여 사용합니다. - 달력의 변경은 특정 client 만이 아니고, 모든 client에 영향을 미칩니다. - 년간 생산계획을 수립하기 전에 다음 연도의 달력을 먼저 정의하여야 합니다. - 달력 유지보수 순서는 1)공휴일 생성, 2)휴일달력 생성, 3)공장달력(특별규칙 지정) 생성 - 먼저 공장달력에 공통으로 적용되는 공휴일을 생성 -> 휴일달력에 공휴일 지정(할당) -> 공장달력에서 휴일달력, 작업일수, 특별규칙 지정 - 근..

카테고리 없음 2023.12.26